본문 바로가기

연구소

암역학연구과

  • Home
  • 연구소
  • 암역학예방연구부
  • 암역학연구과

암역학연구과 임무와 기능

  • 암역학연구는 인구집단에서 발생하는 암의 분포(빈도/양상), 결정요인(원인/위험요인) 및 암관리에 관한 학문을 연구함으로써 근거에 기반한 암예방과 관리를 통해 국민들의 건강증진에 기여함을 목표로 하고, 이를 위한 과학적인 근거를 마련
  • 우리나라 위암예방을 위한 헬리코박터 감염 치료 효과 규명
  • 위암환자의 가족에서 헬리코박터 제균을 통한 위암 예방효과- 전향적 무작위 대조군 연구
  • 내시경 절제술을 받은 조기위암 환자에서 헬리코박터 제균이 점막위축과 장상피화생에 미치는 영향 규명
  • 위암, 대장암, 유방암, 자궁암 등의 주요 암의 발생과 생존 및 예후 인자 규명 연구
  •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연구
암역학연구과 단체사진

연구과제

연구과제 1 : 우리나라 위암예방을 위한 헬리코박터 감염 치료 효과: 무작위 대조군 연구
임무 및 기능(연구 목표)
  • 위암 발생 위험이 높은 우리나라의 40-65세의 성인을 대상으로 헬리코박터 균을 제균 치료를 했을 시 추후 위암발생률이 낮아지는지를 확인함
연구개요(연구 분야)
  • 국가암검진 대상자 중 40-65세 건강한 일반 성인을 대상으로 헬리코박터 균 감염 여부를 검사
  • 헬리코박터 감염자에 대해 10일 간 비스무스 4제 요법 치료군 또는 위약군으로 배정하여 투약 시행
  • 헬리코박터 비감염자의 경우 비감염군으로 배정
  • 이후 매 2년 간격으로 10년 까지 국가암검진 내시경을 통한 추적 관찰 진행
  • 총 11,000명 등재, 6,600명 무작위 배정을 시행할 예정으로 2014년부터 연구 진행 중
  • 세계보건기구(WHO) 산하 국제암연구소(IARC)와 공동으로 진행되는 연구로, 국립암센터를 포함 국내 11개 대학병원에서 진행되는 국제 다기관 연구임
11,000 health adults Aged 40-65 NCS participants
Upper endoscopy with
H.pylori+ (Randomization / n=6,600) H.pylori-
Group1: H.pylori treatment Group2:Placebo Unexposed group: No intervention
Follow-up for 10 years for gastric cancer incidence
Main comparison Natural history
기대효과
  • 세계에서 가장 많은 위암이 발생하는 우리나라에서 헬리코박터 균에 감염되어 있는 40세-65세의 일반 성인에서 위암예방을 위하여 헬리코박터 균을 치료할 근거가 있는지 제시 (위암의 1차 예방)
  • 검진대상자중 헬리코박터 감염이 되지 않은 경우가 약 50%의 인구를 차지하는 데 이들에서 2년 간격의 검진이 필요한지 평가가능 함
  • 이를 통해서 우리나라에서 시행되고 있는 국가암검진 사업의 적절한 대상, 간격에 관한 근거 제시
  • 현재 우리나라에서 시행되고 있는 국가암검진 사업은 위암의 2차 예방 정책으로 2년 간격의 내시경 검사를 반복하는 방법으로, 헬리코박터 치료를 통한 1차예방이 도입되면 연 5,000억원 이상의 위암 검진 비용의 상당부분 절감할 수 있으며 최소한 30% 정도의 절감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함
  • IARC과 공동연구를 진행하여 세계에 적용 가능한 guideline의 근거를 제시함으로써 우리나라의 보건 정책과 연구역량의 우수함을 나타낼 수 있음
연구과제 2: 위암 고위험군에서 헬리코박터 감염과 위암 발생
제 1세부과제 : 위암환자의 가족에서 헬리코박터 제균을 통한 위암 예방효과- 전향적 무작위 대조군 연구
임무 및 기능(연구 목표)
  • 위암환자의 가족에서 헬리코박터 감염되어 있는 경우에 위암 발생률이 감소하는지 확인함
연구개요(연구 분야)
  • 직계 가족에서 위암의 가족력이 있는 18세 이상 대상자를 선정
  • 헬리코박터 감염여부를 검사하여 감염 양성이 대상자에 대해 양성자펌프 억제제 기반 7일 삼제요법 치료군 또는 위약군으로의 무작위배정 시행
  • 매 2년마다 마지막 등재 환자의 6년 째까지 내시경 추적 검사를 시행하여 위암 발생 여부 검사
제 1세부과제
Enroll 1week 2yr 4yr 6yr 2016-17
Screening EGD & biopsy after informed consent Randomization and medication
H.pylori treatment or placebo
Compliance and S/E evaluation(visi or phone) Upper endoscopy
Rapid urease test(RUT) - - UBT & Hp 치료
1차 연구 결과
  • 2004년 11월부터 2011년 12월까지 3,100명 대상자 스크리닝
  • 헬리코박터 감염자 1,837명 무작위배정 시행함
추진사업2: 위암 고위험군에서 헬리코박터 감염과 위암 발생
제 2 세부과제 : 내시경 절제술을 받은 조기위암 환자에서 헬리코박터 제균이 점막위축과 장상피화생에 미치는 영향
임무 및 기능(연구 목표)
  • 위암으로 내시경적 절제술을 받은 환자에서 헬리코박터 균을 제균하는 경우에 위암의 전구병변으로 알려진 조직학적 변화인 점막위축과 장상피화생이 호전되는지 평가함
  • 위암으로 내시경적 절제술을 받은 환자에서 헬리코박터 균을 제균하는 경우에 1년 이후 발생한 이시성 위암(metachronous gastric cancer)이 감소하는지 평가함
연구개요(연구 분야)
  • 조기위암 또는 고분화 위선종으로 내시경 절제술을 받은 대상자를 선정
  • 헬리코박터 감염여부를 검사하여 감염 양성이 대상자에 대해 양성자펌프 억제제 기반 7일 삼제요법 치료군 또는 위약군으로의 무작위배정 시행
  • 내시경 추적 검사 시행: 치료 후 3개월 및 1년 째 검사 후 매 1년 간격으로 검사를 시행하여 마지막 등재 대상자의 3년 방문 시점까지
제 2세부과제
Screening 내시경치료 투약 1week 3months 1yr 2yr 3yr 4yr 5yr 6yr 마지막 등재 대상자의 3년 방문 시점(2016.04.30)
내시경, Hp 검사 조직검사 동의서
무작위배정(H.pylori 치료약/위약)
복용 순응도, 부작용 확인 내시경 추적 검사
조직검사
1차 연구 결과
  • 2003년 8월부터 2013년 3월까지 470명 대상자에 대해 무작위 배정을 시행
  • 2016년 6월까지 추적 검사 완료 후 자료 분석 진행
    · 이시성 위암 발생 분석
    · 조직학적 호전(위축성 위염, 장상피화생) 여부의 호전 여부 분석
기대효과
  • 위암 고위험군에서 헬리코박터 제균이 위암 예방에 효과가 있는지에 대한 근거를 제시
  • 연구 결과를 통하여 도출되는 근거는 헬리코박터에 관한 전세계 가이드라인에 중요한 근거(Evidence level Ia)로 사용될 수 있음
  • 우리나라 헬리코박터 치료에 관한 보험 정책 변경을 위한 근거로 사용 가능함
연구과제 3 : 암의 발생과 생존 및 예후 인자 규명 연구
임무 및 기능(연구 목표)
  • 임상 중개 연구를 위한 생물학적 지표 연구
  • 암의 발생 및 예후 관련 생체 지표 및 생활습관, 환경 상호 작용에 관한 연구
연구개요(연구 분야)
  • 자궁내 microbiome analysis를 통한 숙주의 유전적 요인 탐색
  • HPV 감염자의 지속감염, 자궁경부상피내종양으로 이행에 관련된 유전인자 및 환경인자 규명
  • 위암·대장암·유방암 환자의 추적조사를 통하여 암 발생과 생존과 예후 관련 생활습관자료, 임상정보, 유전정보, 바이오마커 등에 관한 포괄적 통합자료 분석
기대효과
  • 유전적 소인, 환경적 요인을 고려한 암의 위험도 및 요인간의 상호작용을 규명하여 질병의 예방, 중재, 치료의 전략을 제공
  • 일상에서 제어할 수 있는 관련요인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여 암 예방과 치료를 위한 의료비 절감 등 사회경제적 비용절감과 우리나라 국민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
Microbiome의 gut 및 organ과의 건강 연관성
Human Microbiome Project(HMP) Gut-Vagina axis Gut-brain axis Obesity
lmmune Circulatory Digestive Neuriendocrine(behavior) other systems/tissues
- 주요 신체 부위의 공생미생물에 대한 Reference genome 정보 제공
- 공생 미생물과 질환과의 관계를 보여주는 15개 project 진행 중
← LPS,PSA,PGN,SCFA,quorum sugnats
→ AMP
← TMA, triperptides ← indole,SFA, quorum signals, formyl peptides
→ AMP
← PGN, SCFA
→ epinephrine
← bio-acid devivatives, PGN
→ ntric oxide
Microbiome
Nature(2012), cell(2013), Nature (2014), Gynecologic oncology(2015)
연구가설
연구가설
Community→ HPV infection→ HPV persistenc→
(10%/2-3years)
↑ Host factor:Gentic susceptibility & lifestyle??
↑ Environmental factors:Virus & Microbiomes??
CIN 1,2,3 →
(2-5%/10years)
Cervical cancer
HPV regression
자궁경부암 암화과정
자궁경부암 암화과정
Normal HPV infection CIN 1 CIN 2,3 Invasive Cancer
↑Cofactior?
Genetic factor Host factor Viral factor Microbiome
선행연구결과 요약
선행연구결과 요약
Step Normal HPV+ Persistence of HPV+ CIN1 CIN2/3 Cancer
Lifestyle HPV factors Epidemiologic study - Marital status
- Oral Contrace ptive
- Alcohol
- Passive smoking
- Alcohol
- HPV Viral load
- Exerclse
- Folate, VB12
- Alcohol
- Smoke + OC - BMI
- Folate
Microbiome factor Lactobacilli and Obesity Interaction with HPV Interaction with HPV A.vaginae + HPV
A.vaginae dominace
A.vagine + low-vegetable diet
A.vaginae + HPV
A.vaginae dominace
A.vagine + low-vegetable diet
연구과제 4
임무 및 기능(연구 목표)
  • 암 역학 연구기반 마련 및 조사 지원
  • 위암·대장암·갑상선암에 관한 분자·유전체 역학 및 환경 영향 연구
연구개요(연구 분야)
  • 암 진자 코호트 구축 및 운영
    · 포괄적인 위험요인 정보와 생물학적 시료은행을 포괄하는 검진자 기반 코호트 구축을 통한 연구 기반 확충
    · 생물학적 시료 수집 및 보관
국림암센터 검진자 코호트 구축 현황
국림암센터 검진자 코호트 구축 현황 (2017년 4월 7일 까지)
년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총합/발생건 1,167 / 1,167 3,906 / 2,739 7,018 / 3,112 10,430 / 3,412 13,477 / 3,047 18,819 / 5,342 23,936 / 5,117 28,539 / 4,603 32,938 / 4,399 37,081 / 4,143 40,600 / 3,519 43,238 / 2,638 44,973 / 1,735 46,056 / 1,083 46,935 / 879 47,276 / 341
관련 연구장비:Automatic straw filing, sealing and identification system model:MAPI 분자 역학 연구 사진
  • 위암·대장암·갑상선암 발생과 예후에서 유전자-환경 상호작용의 역할 규명을 위한 분자 역학 연구
    · 암 발생 감수성 유전자군의 확인
    · 식이 요인 등 환경요인과 유전자 다형성의 상호 작용 평가
연증반응 → 위암·대장암·갑상선암 (유전적요인:암화 과정, 염증반응, 영양소 대사 관련 유전자 변이 / 환경적요인:영양, 식이 , 음주, 흡연, 약물)→ 치료 및 예후
연구과제 5
임무 및 기능(연구 목표)
  • 암역학연구과는 암역학(Cancer epidemiology) 즉, 집단에서 발생하는 암의 분포(빈도/양상), 결정요인(원인/위험요인) 및 암관리에 관한 학문을 연구함으로써 근거에 기반한 암예방과 관리를 통해 국민들의 건강증진에 기여함을 목표로 함
연구개요(연구 분야)
  • 단면적 연구, 환자-대조군 연구 및 코호트 연구 등 주요 역학연구디자인을 이용해 유전적 요인 및 생활습관을 포함한 환경적 요인과 암의 관련성을 밝힘
  • 개별 암역학 연구들 간에 나타나는 결과의 불일치와 불확실성을 해결하기 위해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방법론을 활용
대표 연구실적
  • 2009년 Journal of Clinical Oncology (2015 SCI Impact Factor = 20.98)
  • Mobile Phone Use and Risk of Tumors: A Meta-Analysis 등 SCI 및 SCI-E 게재 논문 71편
연구과제 6 가족성/유전성 대장암 관련 연구
임무 및 기능(연구 목표)
  • 대장 신생물과 연관된 위험요소 탐구 및 예방에 관한 연구
  • 가족성/유전성 대장암 관련 연구
연구개요(연구 분야)
  • 가족성/유전성 대장암 코호트 구축 예정

최종 수정일 : 2017.05.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