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소 중장기 목표
국립암센터 연구소는 공익적 핵심 암 융합 연구, 정밀의학 실현 암 기반 연구, 근거기반 전주기적 암관리 연구, 공공 개방형 암 연구 인프라 운용 등 4대 중점 연구주제를 도출하여 부속병원, 국가암관리사업본부등과 유기적인 협조체제를 구축하여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지금까지 축적된 기초연구성과를 바탕으로 이를 임상에 적용할 수 있는 중개 연구(translational research)에 역점을 두고 있습니다.
연구소 시설
건물 33,313㎡ (지하주차장 포함), 지상 7층 지하 4층 규모
대외협력기관
UICC(국제암연맹), IARC(국제암연구소), NCI(미국 국립암연구소), 일본국립암센터 등 주요 암 연구기관과 협력 협정 체결
주요 연구내용
국립암센터 연구사업은 정부출연금을 재원으로 2001년부터 시작한 기관고유연구사업과 외부기관의 위탁을 통해 이루어지는 수탁연구사업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현재 기관고유연구사업 부문이 추진하고 있는 연구분야 및 주요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연구분야 | 세부분야 |
---|---|
공익적 핵심 암 융합 연구 (Public Benefit) |
|
정밀의학 실현 암 기반 연구 (Basic Research) |
|
근거기반 전주기적 암관리 연구 (Cancer Control) |
|
공공 개방형 암 연구 인프라 운용 (Open Infrastructure) |
|
우수성과100선 선정현황
순번 | 연도 | 분야명 | 성과명 | 연구자 | 소속기관 | 부청명 |
---|---|---|---|---|---|---|
1 | 2010 | 생명해양 | 단일 기관에서 경험한 암 환자에서 Tolvaptan의 효능 및 안전성에 대한 고찰 | 권병세 | 국립암센터 | 보건복지부 |
2 | 2011 | 생명해양 | 근거중심의 암환자 삶의 질 향상 및 질적 관리를 위한 맞춤형 프로그램 개발 | 윤영호 | 국립암센터 | 보건복지부 |
3 | 2015 | 순수기초 | 진행성직장암 치료에서 수술전 항암화학방사선요법 후 복강경절제술의 안전성 및 유효성 세계 최초 증명 | 오재환 | 국립암센터 | 보건복지부 |
4 | 2016 | 순수기초 | 암유전체 빅데이터로부터 비정상 스플라이싱으로 인한 암 억제 유전자의 비활성화 원인 유전자 변이 세계 최초 규명 | 홍동완 | 국립암센터 | 보건복지부 |
5 | 2019 | 순수기초 | 위암 예방을 위한 헬리코박터 치료 연구 | 최일주 | 국립암센터 | 보건복지부 |
국립암센터 코어랩 이용자 안내
국립암센터 연구소는 세계적 수준의 첨단 암 연구를 주도하기 위하여 다양한 연구지원체계를 갖춘 코어랩을 구축하고
공공개방형 암 연구 인프라 (Open Infrastructure)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기존의 다양한 코어랩을 확대하여
의학통계분석실, 동물분자영상실, 유세포분석실, 현미경영상실를 신설하고 외부의 연구자들에게 코어랩을
이용하실 수 있도록 담당자와 신청서를 안내하오니,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명칭 | 담당 연구원 | 메일 | 서식 |
---|---|---|---|
실험동물실 | 김보라 031-920-2111 | mouse@ncc.re.kr | 신청서 |
생물의약품생산실 | 최범규 031-920-2544 | 11380@ncc.re.kr | 외부이용자는 상담을 부탁드립니다. |
단백체분석팀 | Proteomics Core 김경희 031-920-2345 |
kyunghee@ncc.re.kr | 의뢰안내서 |
유전체분석팀 | Genomics Core 황정아 031-920-2562 |
hjungah@ncc.re.kr | |
Bioinfomatics Core 김종광 031-920-2582 |
jk@ncc.re.kr | ||
임상유전체분석실 | 김종광 031-920-2582 | jk@ncc.re.kr | 신청서 |
의학통계분석실 | 박보람 031-920-2594 송미경 031-920-2592 |
biostat@ncc.re.kr | 신청서 |
동물분자영상실 | Animal PET-CT & SPECT 강세훈, 031-920-2515 |
neology7@ncc.re.kr | 신청서 |
Animal MRI & Optical Imaging 전소연, 031-920-2528 |
soso8504@ncc.re.kr | ||
유세포분석실 | 김태식 031-920-2439 | umbio@ncc.re.kr | 신청서 |
현미경영상실 | 김미애 031-920-2207 | makim@ncc.re.kr | 신청서 |
종양은행 (바이오뱅크) |
김영주 031-920-2207 김경욱 031-920-2101 |
nccbiobank@ncc.re.kr | 신청서 |
그래픽지원팀 | 채수현 031-920-2425 | chja3539@ncc.re.kr | 신청서 |
기관고유연구사업
- 공익적 핵심 암 융합 연구 : 맞춤치료용 암 진단 기술 개발, 희귀/난치암 연구, 국제적 다기관 임상시험, 표준진료권고안 개발
- 정밀의학 실현 암 기반 연구 : 발암 및 암전이 기전연구, 바이오 및 소분자 치료제 연구 개발, 이행성 바이오마커 발굴 연구, 암치료 신기술 연구 개발
- 근거기반 전주기적 암관리 연구 : 국가 암 정책 연구, 암 관련 의료 서비스 평가 및 관리 연구, 암 예방, 검진, 완화의료 근거 탐색, 인구집단 기반 모니터링 및 중재 연구
- 공공 개방형 암 연구 인프라 운용 : 암빅데이터 구축 및 운용, 임상연구 지원시스템 운용, 암 실험 동물 개발, 암연구 지원 코어랩 운용, 종양은행 네트워크 구축
암정복추진연구개발사업
프로그램 | 내용 |
---|---|
암중개융합연구 |
암 발생⋅전이⋅내성기전 연구를 바탕으로 한 새로운 진단 및 치료법 개발을 위한 다학제적 중개연구
|
공익적 다기관 암 임상연구 |
다학제적 접근을 통해 암 진단·치료 가이드라인을 개발 또는 변경 할 수 있는 다기관 임상연구
|
암 예방⋅관리⋅서비스 연구 |
암 예방·검진·완화의료·의료서비스 등 과학적 근거 및 정책 대안 제시 연구 한국인 주요 암의 발생 위험요인 규명 등 |
기획⋅정책 연구 |
국가암관리사업 수행을 위한 근거 제시 및 제도개선방안 연구
|
최종 수정일 : 2020.02.13